String도 마찬가지로 $var변수 를 사용하면 따옴표 내에서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.

"내용1 ${정수 + 정수} 내용2" 를 하면 정수의 합이 출력

 

 

 

if...else 구문처럼 when 구문도 조건문으로 사용된다. 주로 다른 언어의 case switch문과 같음. 사용법은 아래와 같이...

 

 

` 배열은 arrayOf() 함수로 가능(intArrayOf로는 정수형을 배열로 변경) 타입이 정해지지 않았기에 다양한 타입들을 배열로 만들 수 있다.

` 중첩으로 배열을 만들 수 있다.

` 상용구 : it

 

 

` for 문에 반복자로 문자도 가능, 혹은 downTo , step도 가능하다

 

 

` 문제

 

` 문제2 : list를 명시적으로 불변하게 만드는 것이 좋은 이유는 먼가?

'공부 > Kotli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Main args 와 변수 할당 조건문?  (0) 2020.01.06
Kotlin 문서와 연산자  (0) 2019.12.31
Kotlin 시작_장점과 IntelliJ 설치 그리고 HelloWorld  (0) 2019.12.31

+ Recent posts